사진 =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수소충전소
사진 =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수소충전소

수소경제란 화석연료인 석유가 고갈돼, 대체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가 주요 연료가 되는 미래 경제를 칭한다. 우리나라도 올해 최초 '수소각료회의'를 개최, 미래 친환경에너지인 수소의 생산과 활용저변을 넓히고 관련 사업을 육성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수소경제를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문제점도 산재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단연 인프라 구축이다. 하지만 쉽지 않은 부지 선정 및 높은 구축비용에 따른 경제성 확보의 어려움, 위험할 것이라는 대중들의 인식을 바꾸기에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소경제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충전소의 구축-운영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진다. 수소융합얼라이언스포럼에 따르면 수소충전소당 구축 비용은 30억원 정도다. 현 50% 수준의 정부의 구축보조금 최대 15억원을 지원받아도 15억이 필요하고 운영비 또한 인건비, 설비 유지관리비, 전기요금 등을 포함해 연간 1억 5천만원~2억원 정도 들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우리나라 수소차 보급대수(10월 기준 592대)는 턱없이 낮은 수준이라 당장 경제성을 높이기에는 더욱 어렵다.

이 뿐만이 아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수소 수송비용도 튜브트레일러를 통해 가능한데 수소 생산지에서 100km 이내는 부생수소 생산가(2천원)의 2~3배, 200km 이상은 3배 가격이 상승한다. 결국 석유화학단지 인근 외에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어찌됐든 친환경 대체재이자 핵심 미래자원인 수소를 포기할 수는 없다. 이에 정부는 연말까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수립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낮은 경제성과 확산속도 등을 고려해 정부의 현명한 정책이 담겨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온라인뉴스팀 (news@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