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시흥시 제공
사진 = 시흥시 제공

서울시 노원구의 '노원', 경기 시흥시의 '시루' 등 지역 화폐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지역 화폐의 부작용이 새로운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지역 화폐는 해당 지역 거주자는 언제든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일이 많은 관광객에겐 애물단지에 불과하다. 더욱이 지역 화폐는 일반 화폐보다 두꺼워 보관도 쉽지 않다.

또한 지역 화폐의 소비가 기업과 공무원에 치중돼 있는 것 역시 문제다. 자생력이 약하다 보니 가맹점 수를 확보하고 제도를 활성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최근 경기 성남시는 정부가 만 6세 미만 아이를 둔 가정에 지급하는 아동 수당 10만 원을 지역 화폐로 주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지역 화폐와 연계한 아동 수당 지급 계획을 철회하라'는 글이 지속적으로 올라왔고, 성남시는 결국 지역 화폐 대신 체크카드로 지급하기로 했지만 현금 지급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건설사에 공사대금의 일부를 지역 화폐로 지급해 논란을 빚고 있다. 어쩔 수 없이 지역 화폐를 받은 건설사들은 '깡(불법 현금화)'을 통해 현금화를 하기도 한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전문가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당장은 지역 내 자금을 묶어두는 효과가 있겠지만 지역 화폐가 불법 현금화되면서 지역 화폐의 가치가 실제 현금의 가치보다 떨어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기업마다 지자체 공무원 대상 뇌물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도 있다.

결국엔 지역 경제 활성화가 아닌 음성 유통되는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고향 사랑 상품권 도입 증가에 따른 지역의 대응 방안' 보고서를 발표한 김진이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역 화폐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간 가맹점 발굴 및 확대, 지역 화폐에 대한 주민 교육과 홍보 강화, 수당 및 인센티브 제공 등 상품권 활용 범위 확대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맞춤형 판매 촉진 전략과 규제 장치, 자금 조달 방안 등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팀 (news@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