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로-SFR 사업을 둘러싼 논란은 기술의 실현 가능성과 안전성에 집중된다. 사업 반대 측은 상용화 성공 사례가 없어 낭비 요소가 크다고 지적한다. 핵연료 재처리 과정, 소듐의 폭발 위험성을 우려한다. 직접처분보다 더 많은 비용과 처분장·고속로 면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사업 찬성 측은 4세대 원자로 개발 경쟁에서 우리만 뒤처질 수 없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실제 SFR는 국제적으로도 4세대 원자로의 유력한 노형으로 검토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 감소 효과 수치에는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핵연료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술 확보는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파이로프로세싱은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방법 중 하나다. 고온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독성 물질을 분리하고 초우라늄(TRU)을 추출한다.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시 플로토늄 분리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 다른 재처리 기술인 습식 재처리보다는 가능성이 낮지만 이론상은 가능하다. 이 때문에 '핵 확산' 논란이 나온다. 우리나라가 파이로 기술 검증을 미국과 공동 수행한 것도 이런 논란을 의식한 성격이 강하다.

SFR는 TRU를 연료로, 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을 비롯한 사업 찬성 측은 그 동안 SFR를 도입하면 사용후핵연료 처분장 면적은 100분의 1로, 독성은 100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대 측은 주장이 과장됐고 검증된 적도 없다고 반박했다. SFR 냉각재인 소듐의 폭발 위험도 제기했다.

원자력연이 파이로-SFR 연구를 처음 시작한 것은 1997년이다. 2008년에는 사업단을 꾸려 대규모 R&D에 착수했다. 정부도 '미래 원자력 시스템' 유력한 후보로 파이로-SFR을 주목하며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해 지원했다. 오는 2020년까지 한미공동연구를 포함한 파이로-SFR R&D를 이어가기로 했다.

사업이 오래 지속됐지만 기술 실현 가능성, 위험성 등 논란을 불식시키지 못했다. 지난해 국회에서 예산 삭감과 사업 중단 요구가 있었다. 우리나라가 이들 기술 개발에 투입한 비용은 지금까지 6764억원에 이른다. 올해 '수시 배정' 형태로 책정된 관련 예산은 406억원이다.

송준영기자 songjy@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