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해양수산부
제공:해양수산부

해양수산 분야도 한국판 뉴딜 정책을 본격 시행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변하고 있는 경제·사회 지형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 해양수산업의 녹색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공공서비스 확대, GVC 변동 대응·업무지속체계 구축, 해양신산업 육성·성장기반 구축, 선원 등 취약계층 안전망 구축 등을 골자로 하는 ‘해양수산 분야 코로나19 이후 대응 전략’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16일 전했다.

해수부는 최근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등 범정부 대책에 포함된 과제와 함께, 추가 과제를 포함한 6대 추진 전략과 18개 추진과제로 구성된 전략을 마련했다.

우선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디지털 뉴딜)을 추진한다. 기관별로 산재된 770종의 해양수산 공공데이터를 수집·연계해 인공지능(AI) 기반 분석이 가능케하는 ‘해양수산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와 자율운항 핵심기술 등을 통한 해운항만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을 꾀한다.

항만 통합블록체인 플랫폼의 표준화와 수출입물류 데이터 디지털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스마트 해운물류 시스템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부산 기장·경남 고성·전남 신안에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차세대 양ㅇ식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두 번째 과제는 해양수산업의 녹색전환(그린뉴딜)이다. 해수부 관공선 109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하고, 이를 시작으로 국제·연안선박 등 민간선박의 친환경 전환도 지원한다. 또 2025년까지 갯벌 4.5㎢를 복원하고 국립해사고 2개교의 그린 스마트 스쿨 전환을 추진하는 등 녹색 혁신기반도 조성한다.

다음 과제는 비대면 산업 육성과 공공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식품산업 생태계가 비대면·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을 고려해 온라인 거래를 선도할 스타기업과 강소 어업경영체를 육성한다. 또 K-FISH 온라인 수출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양한 해외 온라인 채널을 통한 비대면 마케팅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소비계층별 맞춤형 수산식품 개발을 확대하고, 수산물 가공 원천 기술을 개발한다. AI와 빅데이터에 기반한 스마트 수산식품 가공공장도 확산하고, 소규모·영세 생산자를 위한 스마트 공유 가공단지도 추진한다. 또한 지능형 해상교통서비스와 디지털 기반 비대면 선박검사 등 공공서비스의 비대면화도 본격화된다.

네 번째 과제로는 글로벌 밸류 체인(GVC)의 변동에 대응하고 업무지속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항만 배후단지를 활용해 우리나라 기업의 국내 유턴을 적극 지원하고,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을 내년 상반기까지 항로에 투입하는 등 해운물류 대응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부산항과 광양항 등 허브항만을 육성하고, 전국 5대권역(동남·서남·서해·동해·제주)에 대한 특성화된 항만 개발 전략을 마련해 항만 경쟁력을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해운물류·수산물 수급 관련 글로벌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재난 대비 업무지속 시스템도 구축한다.

해양신산업 육성과 성장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주요 과제다. 우선 권역별 해양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해양유래 항바이러스 소재를 발굴하는 등 해양바이오 산업화 기반을 조성한다.

또한 해양관광지수를 새롭게 마련하고 해양치유관광 등을 통한 한국형 호핑투어를 활성화하는 등 웰니스 해양관광을 추진한다. 창업 콘테스트와 해양수산 창업투자지원 센터 등을 통한 유망 벤처·창업기업 발굴과 육성도 지원한다.

마지막 과제는 선원 등 취약계층의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해양원격의료 지원을 올해 100척을 시작으로 매년 20척씩 확대하고, 상병 보상액의 상향과 의료재활급여 법정화도 추진한다.

또 어촌뉴딜 300사업을 통해 어촌 공간을 재생하고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망의 보급과 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 등 어촌 주민의 정주여건 개선에도 힘을 기울인다.

해수부는 이번 전략을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재정당국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예산 확보, 세부 분야별 후속조치 계획 수립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이번 전략을 통해 해양수산업이 코로나19의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선도형 경제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면서 “앞으로도 각 분야의 업계·전문가와 소통해 코로나19 이후 대응전략의 실행력을 높이고, 새로운 정책과제도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교현 기자 kyo@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