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그린 뉴딜 정책을 추진 중인 정부가 도심용 항공모빌리티(UAM) 기반 구축을 위한 제도혁신에 나서기로 하면서 산업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기업과 정부는 이달말 민·관 협의체인 UAM Team Korea를 발족하고 기술개발 및 사업화 계획을 논의할 방침이다.

UAM 상용화가 이뤄지려면 하늘길과 관련된 운항제도 등이 정비돼야 하는데 정부가 특별법 개정을 통해 이를 위한 기반을 우선 구축하기로 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자동차와 항공기 중간 단계인 UAM 시장 규모가 2040년 1700조원(1조5000억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리서치 보고의 50% 수준으로만 잡아도 800조원이 넘는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는 모습(제공:News1)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는 모습(제공:News1)

전날 홍남기 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UAM특별법을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도 시장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화물 운송을 시작으로 개인용비행체(PAV) 상용화가 2025년에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UAM 비전을 제시한 현대차는 성공 가능성을 낙관하는 모습이다. 기존 항공기 제조와 달리 짧은 거리를 하루에 수백 번 오가는 개인용 비행체는 완성차 양산체제에 적합한 모델이라는 이유에서다.

UAM의 핵심 3요소는 개인용비행체(PAV)와 PBV(지상 이동수단),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허브(환승장)다. 이중 개인용 비행체는 항공기와 자동차 중간에 위치한 제품군으로 볼 수 있다. 이용 빈도가 많은 제품군이어서 자동차에 버금가는 시장 성장이 가능하다. 이때 필요한 게 대량 양산체제다.

전동화와 빅데이터, 내비게이션, 위치감지 등 기술을 그대로 적용해 대량양산이 시작되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수요를 소화하는 게 가능하다. 대량생산을 통해 원가 절감도 가능하다. UAM 부문에서는 기존 항공기 제작기업 보다 완성차 브랜드가 유리하다고 보는 배경이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만 놓고 보면 일본 및 독일계 브랜드 등 강력한 경쟁자가 존재하지만 이를 지상과 하늘을 유기적으로 연결 짓는 이동의 진화라는 콘셉트로 풀어냈다.

치과, 내과, 편의점 등으로 구성된 PBV가 환승거점에 도킹(결합)되면 허브가 병원이나 문화공간으로 확대되는 식이다. PAV는 이들 거점 구간을 빠르게 이동하는 수단이다. 하늘과 지상, 공간 3박자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사업개념을 설정한 것으로 진일보한 콘셉트가 구현되면 강력한 경쟁자들 사이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운송수단 상용화는 자동차 계열사가 맡고 허브 구축은 건설 계열사가 동시에 추진할 수 있어 현대차그룹에게 적합한 사업계획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첨단사업은 새로운 구상과 기술개발 속도에 맞춰 제도가 따라와야만 가능하다”며 “첨단산업 중요성을 강조하던 정부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전했다.

구교현 기자 kyo@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