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은 20일 제2회 에너지전환 테크포럼을 개최했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은 20일 제2회 에너지전환 테크포럼을 개최했다.

'수소경제사회' 실현을 위해 정부와 산·학·연이 머리를 맞대고 '시장 주도형 연구개발(R&D)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은 20일 '제2회 에너지전환 테크포럼'을 개최하고, 범수소경제 전망과 성공 안착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현장에는 산·학·연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2040년까지 620만대(내수 290만대·수출 330만대)로 확대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수소충전소 확충과 수소 대중교통 확대도 추진키로 했다. 2040년까지 발전용 연료전지를 재생에너지 활용 수소 생산과 연계해 15기가와트(GW) 이상으로 확대하고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도 약 94만 가구에 2.1GW 이상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수소경제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장 주도형 R&D 체계부터 만들어져야 한다”며 “민간 투자와 시장 형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수소차 620만대는 정부가 직접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 민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마중물을 붓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고 방향을 제시했다.

김 박사는 수소차 생산량을 2020년까지 3만5000대까지 달성할 경우, 현재 7000만원 수준 가격에서 5000만원 후반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30년 이후에는 내연기관차 수준인 5000만원 미만이 유력하다고 내다봤다. 이를 위해선 수소차 부품 양산 기술을 개발하고 스택·수소탱크 등 핵심부품 원천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박사는 “발전용부터 가정용까지 수소 연료전지가 활성화되는 것이 수소경제를 실현하는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2005년 수소경제 마스터플랜을 세울 당시만 하더라도 시장이이 형성될 수준의 기술은 갖춰지지 못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고 진단했다. 수소 폭발사고는 전례가 없다며 안전성이 높다고 제언했다.

수소경제사회 실현 가능성에 대한 신중론도 제기됐다. 이성호 에너지전환정책연구소 소장은 “수소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가 수소 사용을 위해 얻는 에너지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수소경제는 사회적으로 옳은 발전 방향이 아니며 효율성도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임춘택 에기평 원장.
임춘택 에기평 원장.

임춘택 에기평 원장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수소경제를 선도하는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첫 걸음을 뗐다”며 “수소차·수소버스·수소택시 등 수송 분야에 적용할 경우, 국민적 관심사인 미세먼지 문제에 6% 절감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수소경제는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이 역할 분담을 확고히 하는 방향으로 성공 안착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재필기자 jpchoi@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