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인공강우 실험이 비를 내리지 못해 실패로 결론 났다. 구름에서 강수입자가 커졌지만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지는 않았다. 기상청은 인공강우 기술을 축적한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비행 중 인공강우물질 살포 모습. [자료:기상청]
비행 중 인공강우물질 살포 모습. [자료:기상청]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과 기상청은 지난 25일 서해상에서 기상항공기(킹에어 350)를 이용해 인공강우의 미세먼지 저감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했다. 기상선박 및 지상 정규관측망에서 유의미한 강수 관측은 없었다고 28일 밝혔다.

기상청은 기상위성영상, 이동관측차량 관측정보, 수치예보모델 예측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실험 당일 기상조건이 인공강우 실험에 적합하다고 판단해 이날 오전 10시부터 영광 북서쪽 110㎞ 해상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했다.

기상항공기는 인공강우 물질(요오드화은)을 살포한 뒤 구름 내부의 강수 입자 변화를 관측했다. 기상관측선은 인공강우 실험효과 관측을 위해 인공강우 실험 지역 중심으로 기상관측을 이어갔다.

실험에서 3.6㎏ 요오드화은을 뿌렸지만 먹구름만 잠시 짙어졌을 뿐 비나 눈은 내리지 않았다. 기상항공기에 장착된 구름물리 측정장비(구름 입자 및 강수 측정기)로 인공강우 실험 이후 구름내부에서 강수입자의 크기가 증가된 것은 확인했다. 하지만 이날 인공강우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 전라남도 영광 지역에 비가 내리지는 않았다.

지상 정규 관측망과 기상선박에서도 강수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영광 지역에 위치한 모바일 관측차량에서 수분 동안 약한 안개비 현상이 나타났고, 기상선박 주위 해상에 비를 포함한 구름이 목격돼 정밀 분석 중이다.

환경과학원은 기상청과 환경부가 협업해 인공강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 영향 연구에 첫발을 내딛은 실험이라고 강조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의 출발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자평했다.

실험에서는 기상관측선에 장착한 미세먼지 관측장비와 내륙의 도시대기측정소 등에서 대기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측했다.

상세 분석 결과는 과학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거쳐 내달 말 기상청과 환경부가 합동 발표할 예정이다.

실험 전 후 구름 관측 사진. [자료:기상청]
실험 전 후 구름 관측 사진. [자료:기상청]

김종석 기상청장은 “인공강우 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에서 지속적인 연구를 해야 한다”라며 “실험 성공 여부를 떠나 또 하나의 인공강우 기술을 축적한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강우는 구름 중에 구름씨앗이 될만한 화학물질을 인위적으로 구름 등 대기 중에 살포해 비를 만드는 방법이다. 1940년대 미국에서 실험이 시작됐다. 우리나라는 후발주자로 1995년부터 연구에 착수했다. 국내 인공강우 실험은 주로 강우량을 늘려 가뭄 해소 방안으로 연구됐다. 이번 실험은 최근 국내 미세먼지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인공강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