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중국이 '미세먼지 조기경보 체계'를 공동 구축한다. 두 나라는 중국 화북지역 주요 대기오염물질 발생원 이동을 추적하는 '청천(晴天) 프로젝트' 조사 대상 지역도 확대한다.

미세먼지 뒤덮힌 도심.
미세먼지 뒤덮힌 도심.

환경부와 외교부는 22~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중 환경협력 국장회의, 한·중 환경협력 공동위원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우리 정부는 최근 재난 수준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으로 국민 불안이 가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 삶의 질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저감하기 위해 양국이 함께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중국 측은 자국 내 정책을 통해 2013년 이래 주요지역 대기 질이 40% 이상 개선되는 등 중국 내 생태환경 전반의 질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장기적 대응이 필요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한국 정부와 국민이 인내심을 갖고 중국과 협력하자고 언급했다.

양국은 미세먼지를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해 별도 전문가분과 창설, 대기 질 예보 정보·기술 교류 프로그램(미세먼지 조기경보체계) 착수, 한중 공동연구 사업(청천 프로젝트) 범위 확대, 지방정부 간 미세먼지 교류협력 확대 지원에 합의했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조기경보체계에 대해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예보를 통해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우리가 제안해 중국이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한·중 전용망을 통해 중국의 장단기 예보자료 등 관련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중국 예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으면 국내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가 향상되고, 2~3일 전에 조기경보를 발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협력 내용과 일정 등은 다음달부터 실무협의를 통해 논의할 계획이다. 논의 결과는 올해 하반기 일본에서 개최되는 제21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 21)에 보고할 계획이다.

양국은 중국 화북지역 주요 대기오염물질 발생원 이동과 변환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2017년부터 시작한 한중 공동 연구사업인 '청천 프로젝트' 조사 대상 지역과 관측방식도 확대한다. 연구 대상 지역을 베이징과 바오딩, 창다오, 다롄 등 4개 도시 외에 탕산과 센양 등 2개 도시를 추가키로 했다. 앞으로는 항공+위성관측을 이용한 오염물질 이동 특성 연구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LTP) 연구 요약보고서'가 올해 하반기 일본에서 열리는 한·중·일 환경장관회의를 계기로 발간될 수 있도록 3국간 긴밀한 협의를 지속키로 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 2017년 8월 한·중·일 장관 간 발간을 합의했으나 중국 정부 측 반대로 연기된 바 있다.

유제철 환경부 생활환경정책실장은 “청천 프로젝트 범위를 확대해 미세먼지 발생 원인과 이동 경로 등을 추적 연구할 계획”이라며 “동북아 장거리 대기오염물질 연구 요약보고서가 올 하반기 3국 환경 장관회의 때 발간될 수 있도록 한·중·일 3국간 긴밀한 협의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