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가 앞 다퉈 지역화폐를 도입하고 있다.

지난 8월말 기준 지역상품권을 발행한 지자체는 11개 시·도 64개 기초 지자체에 달한다. 인천 1곳, 광주 1곳, 경기 4곳, 강원 10곳, 충북 8곳, 충남 8곳, 전북 4곳, 전남 11곳, 경북 8곳, 경남 8곳, 제주 1곳 등이다.

전국적으로 지역화폐 발행 규모는 2015년 892억원에서 2016년 1087억원, 지난해 3100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3300억원 가량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지난해 국정과제로 지역화폐를 활성화하기로 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는 무너지는 골목상권을 되살리기 위해 지방 공무원의 신규 복지 수당, 복지 포인트를 최대 30%까지 지역화폐로 지급하기로 했다.

지역화폐는 대도시나 광역시도 보다는 주민의 지역 애착도와 공동체성이 높은 농촌, 산촌, 어촌 등 지방 소도시에서 도입효과가 크다. 지역 주민의 타지역 구매 대체효과, 관광객의 지역 내 구매 촉진, 내부 순환 등 효과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1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의뢰한 '고향사랑 상품권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제도화 방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품권 도입으로 강원 양구군 소상공인 1인당 소득이 2.1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이 다른 지역소비를 줄이고 지역 내 소상공인 상품 이용을 늘린 덕분이다.

또한 지역화폐 발행과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지역화폐는 말 그대로 특정 지역 안에서 현금처럼 사용하는 화폐다. 국가가 발행하는 법정화폐와 달리 지자체가 발행하고 관리까지 맡는다. 일명 '고향사랑 상품권'으로도 불린다.

온누리 상품권은 전국의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고향사랑 상품권은 발행한 특정 지자체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지역화폐는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와 함께 기존 화폐를 대신할 수 있는 '대안화폐'로도 주목받고 있다.

지역화폐는 1930년대 세계적으로는 대공황때 무수한 지역화폐가 발행됐다. 우리나라에서도 외환위기 때 30여개의 지역화폐가 도입됐다가 사라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경기가 어려울 때 지역화폐가 주로 등장한다는 주장도 있다.

지역화폐는 법률에 따라 중앙은행이 발행해 강제 통용력을 갖는 법화와는 달리 지역사회 또는 지역공동체 간 합의를 바탕으로 거래된다.

온라인뉴스팀 (news@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