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물자원공사가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광물 수요 급증에 대비해 광물자원 회수 시장을 키운다. 영세 사업자 중심의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도시광산 산업 재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한다. 전국 단위 광물자원 회수 생태계도 구축한다.

광물자원공사는 최근 광물자원 회수시장 육성 일환으로 태스크포스(TF) '도시광산 사업추진단'을 구성했다. 향후 출범할 '한국광업공단(가칭)'의 광물자원 회수사업을 준비하는 조직이다. 과거 도시광산 사업 개선이 주목표다.

TF 활동 범위는 도시광산 재활성화 추진 총괄을 비롯해 지원센터 설립 검토, 폐금속자원 유통구조 분석 및 개선방안 마련, 지역별 특화 사업 및 기술개발 등이다. 시장 육성을 위한 정부 예산확보와 국회 설득 작업도 담당한다.

광물자원 회수는 TV·휴대폰 등 각종 폐전자기기에서 다양한 금속들을 수거해 선별·제련을 거쳐 광물자원으로 활용하는 자원순환 사업이다. 정부는 2000년 후반부터 도시광산 사업을 통해 광물자원 회수시장 확대 정책을 추진했지만 영세업체 중심 산업구조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도시광산 업체 수 증가와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축소 성과는 있었지만 매출액 50억원 이하, 조업원 10인 이하 사업장이 다수여서 자원 공급원으로서 파급효과는 미흡했다.

광물공사는 광해관리공단과의 기관 통합 후 도시광산 사업을 재편할 계획이다. 통합기관인 광업공단에는 해외자원개발 업무가 포합되어 있지 않아, 도시광산 활성화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주요 광물을 회수해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주요 회수 대상 광물은 코발트·리튬·텅스텐·니켈·망간·희토류 등이다.

인프라 확충을 위해 권역별 역할도 차별화한다. 서울은 자원순환 기술지원, 경인권은 희소금속, 전라권은 폐배터리, 충청권은 폐태양광, 경상권은 금속스크랩과 폐석유제품 등이다. 도시광산에서 나오는 회수광물 수급동향과 가격 정보를 알 수 있는 통계포털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별도 거래소 설립도 추진한다.

자원업계 관계자는 “석유화학·제조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중심 산업구조로 변화하면서 자원소비 패턴도 바뀌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 신산업 부상으로 희유금속(rare metal)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도시광산을 통한 광물자원 회수시장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