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시대를 맞아 기후기술 혁신은 물론 사업화 전략과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앞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기후기술 간 광범위한 융복합이 이뤄지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장이 예견되기 때문이다. 기후산업 변화·발전을 주도하기 위한 선제 전략을 짜야한다는 주문이다.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8 기후기술 오픈 포럼에서 김형주 녹색기술센터 정책연구부장이 발표하고 있다. [자료:녹색기술센터]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8 기후기술 오픈 포럼에서 김형주 녹색기술센터 정책연구부장이 발표하고 있다. [자료:녹색기술센터]

김형주 녹색기술센터(GTC) 정책연구부장은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8 기후기술 오픈 포럼'에서 '기술의 융합이 이루어내는 기후변화 해결'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밝혔다.

김 부장은 “이전 기후기술은 일부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절감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에 관심이 그쳤다”라며 “앞으로는 융복합 감축·적응, 타 기술을 아우르는 복합화와 지속가능성(경제·환경·사회) 강화, 기술별 맞춤형 정책·제도·재원·역량 강화 측면도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후산업 혁신은 기술과 제품 단위에서 비즈니스 모델 혁신으로 진화 중”이라며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기후기술의 융복합으로 촉발되는 기후산업 변화·발전을 예상했다.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태양광 시장 이외에는 기술 실증단계에서 상업화·산업화가 정체된 상태다.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기후변화 적응 관련 시장과 산업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전망이다.

변화하는 기후산업을 주도하기 위해 요소 제품 조달에 중국 등 개도국과의 경쟁, 향후 지식기반 서비스(사업기획, 시스템 통합 설계, 엔지니어링, 컨설팅, 운영 등)와 통합 솔루션 제공체계로 진화가 필요하다는 게 김 부장의 생각이다.

김 부장은 “융복합 시대로 변모하고 있는 '기술혁신' 뿐만 아니라 '사업화 전략' '정부 정책 지원'도 중요하다”라며 “무엇보다 온실가스 저감 등 기후, 환경 문제에 대한 국민의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 김효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차장은 '기후변화 극복 협력을 강조했다. 자연·환경 다큐멘터리 전문 프로듀서로 '멸종 3부작'등을 연출한 신동만 KBS PD는 '야생의 현장에서 본 기후변화'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기후변화 심각성을 알렸다.

기후기술은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에 도움이 되는 기술로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포함한다. 기후변화 악영향에 적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도 속한다.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 실행과 같은 가벼운 성격의 기술도 기후기술도 해당된다.

우리나라 기후기술 수준은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 기준 약 79.1% 수준이다. 기후기술 미국 출원특허 수는 미국, 일본, 독일 뒤를 이어 세계 4위 수준이다.

◆인터뷰-오인환 녹색기술센터 소장

오인환 녹색기술센터 소장. [자료:녹색기술센터]
오인환 녹색기술센터 소장. [자료:녹색기술센터]

“올해 폭염으로 기후기술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기후기술로만 해결할 수 있는 만큼, 우리 출연연이 개발한 우수 기술을 보급·확산시켜 기후변화에 대응하겠습니다.”

오인환 녹색기술센터 소장은 기후기술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나아가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소장은 “기후기술은 크게 온실가스 '감축'과 '적응'으로 나뉘는데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쟁에너지가 대표적 감축 기술임과 동시에 향후 우리의 먹을거리 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후기술을 국내에 적용·확산해 혁신성장 동력을 만들 수 있고, 해외 온실가스 감축 사업 등에 활용해 온실가스 감축 실적도 확보할 수 있다”면서 “우리 출연연 기후기술이 국내외 현장에서 사업화되고 실행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