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HTC
사진 = HTC

중화권 스마트폰이 국내 시장에 진출한 지 어느덧 10년이 됐다. '외산폰의 무덤'이라 불리는 국내 시장에서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중화권 업체들의 지난 10년 간의 역사를 되짚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짚어보고자 한다.

국내 시장의 문을 처음 두드린 업체는 HTC다. HTC는 2008년 7월 SK텔레콤을 통해 '터치 듀얼폰'을 출시했다. 오디오 특화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선보이며 호응을 얻었던 HTC는 순조로웠던 국내 시장 진출의 시작과 달리 삼성전자, LG전자를 극복하지 못하고 4년이 안 돼 철수하고 말았다.

HTC의 뒤를 이어 국내 시장에 진출한 업체는 ZTE다. 국내에 지사를 설립한 ZTE는 2012년 11월 G마켓을 통해 '제트(Z)폰'을 선보이고, 2017년에는 KT를 통해 '라인프렌즈폰', SK텔링크를 통해 알뜰폰인 '블레이드L5'를 공급했다.

2014년 9월에는 화웨이가 국내 시장에 진출했다. 화웨이는 미디어로그와 제휴를 맺고 중저가폰 'X3'를 선보였다. 이어 LG유플러스와 협력하고 KT와는 '비와이' 시리즈를 공동 개발했다. 화웨이는 오는 하반기 아이폰X의 노치 디자인을 적용한 'P20 라이트'를 국내에 출시할 계획이다.

2015년에는 TCL알카델이 SK텔레콤과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고 국내 시장에 정식 진출했다. 중저가 스마트폰을 잇달아 선보인 TCL은 2016년 블랙베리의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국내에 시판했다. TCL는 지난달 블랙베리의 핵심 정체성인 쿼티 자판을 유지하면서 두께를 줄이고 스피드키 등 신기능을 도입해 활용성을 높인 '키투(2)'를 출시했다.

레노버 역시 2015년 1월 SK플래닛 11번가를 통해 '팹플러스'를 판매했다. 팹플러스는 전파법 위반 논란에 휘말리며 판매가 중단됐다. 이듬해 세계 최초 증강현실(AR) 스마트폰 '팹2프로'를 출시지만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지난해 4월에는 샤오미가 해외직구사이트 3KH를 통해 '미믹스' 스마트폰을 출시하며 국내 시장에 존재감을 드러냈다. 8개월 뒤인 12월 샤오미는 듀얼카메라를 탑재한 20만 원대 스마트폰 '미A1'을 출시했지만 유통 채널 부재로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10년 동안 부지런히 국내 시장의 문을 두드렸던 중화권 스마트폰 업체들의 성과는 부진하다. 5% 점유율을 돌파한 적이 없으며, 제조사별 1%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한 적 또한 없다.

중화권 제조사가 국내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는 이유는 브랜드 이미지 한계, 체험 마케팅 부재, 미흡한 A/S 체계, 보급형 폰 중심의 라인업 등이 있다.

여전히 국내에는 중화권 스마트폰을 '짝퉁폰'으로 보는 시선이 존재한다. 중국 스마트폰의 진화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이미지는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

또한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수요가 높은 국내에서 2~30만 원대의 보급형 제품은 확산에 한계가 있다. 유통 영역이 광범위하지 못한 것 역시 문제다. 국내 시장에서는 오프라인 판매가 중심이기 때문이다. A/S 체계의 양적, 질적 부족도 중화권 스마트폰 업체의 부진이 지속되는 이유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온라인뉴스팀 (news@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