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삼성
사진 = 삼성

'삼성그룹'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삼성그룹'은 2017년 2월 미래전략실 해체로 사라졌다. 현재 '삼성'은 컨트롤타워 없이 계열사들이 각각 독립경영을 해나가는 체제로 진행되고 있다.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는 그룹 '삼성'은 현재 구심점이 없다는 우려스럽다는 평을 듣고 있다.

'삼성'은 현재 계열사를 전자, 비전자, 금융으로 나뉜 뒤 각각을 지원하는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다. 일명 '미니 컨트롤타워'로 불리는 TF는 위기 대응 대처 면모에 있어서 기존 컨트롤타워보다는 부족한 면이 많다.

정부가 7월부터 시범 운영한 '금융그룹 통합감독' 제도에 대한 대응도 그룹 차원에서 조율이 요구된다. 해당 제도에 의하면 삼성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328.9%에서 221.2%로 대폭 낮아진다. 집중위험을 포함하면 110%까지 떨어진다. 이는 곧 계열사간 지분 정리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란 뜻이다. 또한 보험업법 개정에 대응한 지배구조 개편 작업도 진행되어야 하기에 그룹은 난색을 포하고 있다.

이러한 일들이 쌓이자 '삼성' 내, 외부에서는 자연스럽게 TF 조직보다 큰 역할을 하는 컨트롤타워의 복원 필요성에 대해 언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삼성' 미래전략실 체제를 비판했던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역시 최근에는 '삼성' 내 새로운 형태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해 시선을 끌고 있다.

그는 "'삼성'은 기존 미래전략실과 다른 새 그룹 컨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라며 "현재 '삼성전자'와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으로 쪼개진 소미전실 시스템으로는 '삼성'이란 거대 그룹의 미래를 담보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후 김상조 위원장은 그룹 내 비공식적 의사결정 조직을 만들고 여기서 결정된 사항들을 각 계열사 이사회 등에서 공식 재승인하는 유럽식 '듀얼 어프로치' 방식을 제안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한편 '삼성' 내 TF가 있음에도 컨트롤타워 복귀가 언급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삼성' 관계자는 "미래전략실은 사업전략부터 인사, 법무, 계열사간 업무 조정까지 담당했던 반면 소그룹 지원 TF는 전략과 인사를 중심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역할과 기능에 큰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팀 (news@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