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력계통 운영과 수요공급 대응 시간 간격이 1시간에서 15분 안팎으로 줄어든다. 전국 전력계통 모니터링 주기가 짧아지면 발전 예비율 효율 운영과 설비 고장 등 유사시 대응 능력이 높아진다. 추후 신재생에너지 설비 증가에 따른 계통 변동성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력거래소 차세대 EMS의 운영센터 전경.
전력거래소 차세대 EMS의 운영센터 전경.

한국전력거래소는 통합운영발전계획시스템(이하 통합시스템) 구축 사업 입찰을 공고했다고 14일 밝혔다. 전력거래소는 오는 20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통합시스템 구축 용역 제안요청서 설명회를 개최한다.

통합시스템 개발은 전력거래소 중앙전력관제센터 운영시스템(EMS)의 실시간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 62억원 규모이며, 소프트웨어(SW) 개발에만 약 43억원을 투입한다. 설명회와 사업자 선정 이후 8월 말 시스템 구축 작업에 착수한다. 사업 기간은 2년여 예상된다.

통합시스템이 구축되면 우리나라 전력 수급 및 발전 계획을 15분 단위로 세울 수 있다. 현재 발전 계획은 주간과 하루 단위로 짜인다. 당일 수급 상황에 따른 발전량은 하루 전 입찰을 통해 시간 단위로 설계된다. 통합시스템은 시간 단위 수급 운영 간격을 4분의 1 수준으로 좁혀 전국 발전소 운전과 전력계통 상태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전력거래소는 거의 실시간에 가깝게 대응할 수 있는 계통운영시스템을 갖춘다는 게 최종 목표다.

실시간 계통 운영은 신재생과 수요 자원 등 소규모 전력 자원 확대에 대비하는 측면도 있다. 기존 원자력·석탄·천연가스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 설비는 일정량 전력을 약속된 시간만큼 계속 발전할 수 있다.

소규모 자원은 일정한 발전량을 유지하지 못하는 간헐성 문제를 안고 있다. 지금처럼 시간 단위로 계통을 운영하면 간헐성 문제로 대응이 늦다. 실시간 계통 운영시스템을 구축하면 기상 요인으로 인해 신재생 발전량이 갑자기 줄거나 수요자원 시장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을 때 양수발전, 가스터빈 가동 등으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신재생 설비 확대를 발표하면서 대응책으로 전력 통합관제시스템과 양수발전·가스터빈을 이용한 긴급 백업 설비 확충을 언급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통합시스템의 핵심은 기상 여건, 발전소 운영, 계통 상황 등 다양한 요인을 조합해 계통을 운영하는 최적화”라면서 “재생에너지 3020 계획 등 앞으로 분산형 신재생 설비가 늘면서 일어나는 간헐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