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연이어 발령됐던 지난 달 대기상태는 중국보다 우리나라에서 자체 발생한 미세먼지 영향이 컷던 것으로 분석됐다.

관측자료(수도권 집중 측정소) 기반 지역의 시간별 미세먼지 국내외 기여 추정. [자료:국립환경과학원]
관측자료(수도권 집중 측정소) 기반 지역의 시간별 미세먼지 국내외 기여 추정. [자료:국립환경과학원]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첫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지난 달 15일부터 나흘간 발생한 PM-2.5 발생 원인 분석결과를 6일 공개했다.

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 기간 국내에 유입된 중국 등 외부 발생 미세먼지 비중은 첫날 57%로 절정을 찍은 뒤 16일 45%, 17~18일 38%로 점차 줄었다.

환경과학원은 대기질 모델링을 활용한 검증에서 국외 기여도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대기질 모델링은 미세먼지 원인 등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 환경보호청(EPA) 등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하는 모의실험이다.

환경과학원은 15일 오후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된 이후 16~18일 대기가 정체하고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 미세먼지 2차 생성이 활발해져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미세먼지 2차 생성은 대기 중의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이 물리·화학 반응을 거쳐 미세먼지인 황산염(SO42-), 질산염(NO3-)으로 바뀌는 것이다. 환경과학원은 국내 자동차나 발전소 등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이 대기 정체로 지면 부근에 축적된 뒤 2차 생성 미세먼지 질산염으로 전환돼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했다. 1월 15~17일 수도권집중측정소에서 측정한 질산염 시간당 증가율(1.4%)은 황산염 증가율(0.7%)의 2배에 달했다.

1월 15~18일 서울 미세먼지(PM2.5) 농도 추이. [자료:국립환경과학원]
1월 15~18일 서울 미세먼지(PM2.5) 농도 추이. [자료:국립환경과학원]

김정수 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과거 미세먼지 국외 기여율이 연평균 30~50%, 고농도일 때 60~80% 정도라고 발표한 적이 있었다”면서 “이번에는 특이하게 국내·외 영향이 비슷하거나 국내 영향이 더 많았다”고 밝혔다.

김 부장은 “기압계 정체로 풍속이 초속 1.5m 수준으로 낮아 대기 정체가 심했다”라며 “올해는 작년과 달리 중국과 한반도에 걸쳐 광범위하게 대기 정체가 발생하면서 국내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