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전기를 절약해 전력시장에 판매할 수 있는 시대가 온다. 지금은 산업체와 대형마트, 병원 등 전력사용량이 일정수준 이상인 곳만 수요자원시장에 참여한다. 내년부터는 일반 가정도 절전 거래로 수익을 거둘 전망이다.

전력거래소 수요자원시장 운영센터(전자신문DB)
전력거래소 수요자원시장 운영센터(전자신문DB)

전력거래소는 내년에 산업·영업·주택 등 모든 전기사용 고객이 참여할 수 있는 수요자원시장을 운영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일반인도 참여 가능한 '국민 수요관리(DR) 시장' 개설을 준비하고 있다.

국민 DR와 수요자원시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전력 수급방법이다. 지금까지는 미래 전력사용량을 예측해 여유 있게 발전소를 건설하고, 이를 통해 전력수급을 맞췄다. 앞으로 수요자원시장은 줄일 수 있는 전력을 미리 찾아내 전력상황에 맞춰 수급을 조절한다.

국민 DR시장이 열리면 절전 가능한 자원이 늘어난다. 발전소를 가동하지 않고 수급조절 가능한 전력량도 커진다. 국민 개개인이 수익을 위해 수요자원시장에 참여하면 에너지 절약 캠페인 없이도 절전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수요자원시장은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등장했다. 과거 부하관리제도에서는 담당자가 각 고객기업을 방문해 절전을 요청하고 현황을 파악했다. 지금은 ICT 인프라에서 모든 과정이 이뤄진다. 산업현장에서 절전 가능한 설비를 파악하고 전력상황에 맞춰 수급을 조절하는 작업이 ICT를 통해 이뤄진다. 수요관리사업자는 수많은 고객의 감축 가능량과 감축실적 등을 관리, 수요자원시장에 절전용량을 내다 판다.

국민DR는 나아가 '지능형 DR'로 발전할 수 있다. 전력사용량과 다수의 전력부하 요인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자동으로 수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시장 참여고객과 관리해야 할 기기가 많아진다. 실시간으로 수급조절과 절전자원 거래를 해야 한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필수다. 사물인터넷(IoT)이 집안의 조명·가전·수도·보안·네트워크 기구의 에너지 사용량을 취합한다. 전력수급상황에 따라 알아서 불필요한 에너지를 줄이고 수요시장에 참여하는 시대가 멀지 않았다.

수요자원시장을 전력수급 대책으로만 보지 않고, 새로운 비즈니스·서비스 모델로 받아들이는 시각이 필요하다. 최근 '급전지시'라는 용어를 두고 논란이 발생한 것도 마찬가지다. 급전지시라는 말은 '수요감축요청'으로 바뀌어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급전의 '급'이 '주다(給)'라는 의미가 아닌 '급하다(急)'라는 의미로 잘 못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수요감축요청은 전력수급비상시 사용량 감축 기능도 있지만 절전 거래를 통해 전력시장의 발전소 연료비 반영을 낮추는 의미로도 쓰인다.

실제로 수요자원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전력 위기 시에만 시장이 개설된다는 것이다. 지난달 한파로 연일 최대전력을 기록할 당시에 수요자원시장이 운영됐지만 국가 전력예비력은 13% 이상을 유지했다. 수요자원시장이 가동되지 않아도 전력수급에 문제가 없었다.

에너지 업계는 수요자원시장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이 될 것으로 본다. '아낀 전기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에 저장해 비쌀 때 판다'고 알려진 스마트그리드도 수요자원시장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수요자원시장이 제대로 된 기능을 하려면 평시에도 더 많이 운영돼야 한다”며 “참여자와 기회가 많아질수록 전력수급만이 아닌 새로운 비즈니스 차원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부하관리제도와 수요자원시장 비교>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