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집단폐사한 야생조류의 약 90%에서 농약이 검출됐다.

30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작년 1월부터 최근까지 발생한 야생조류 집단폐사 32건(633마리)을 분석한 결과, 28건(87.5%·566마리)에서 살충제 등에 쓰이는 농약 성분 14종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야생조류 집단폐사 지역 주변 볍씨. [자료:국립환경과학원]
야생조류 집단폐사 지역 주변 볍씨. [자료:국립환경과학원]

환경과학원이 1년간 발생한 야생조류 집단폐사(평균 20마리)의 원인을 분석해 관련 정보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과학원은 이번 집단폐사 32건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조류 사체의 위 내용물과 간 등에서 추출한 농약 성분을 고도분석 장비로 정량 분석해 국내·외에서 사용된 503종의 농약과 비교했다.

집단폐사 사례에서 야생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는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 농약 성분이 검출되지 않은 나머지 4건(67마리)은 질병, 사고사 등 일반적인 죽음으로 추정된다.

환경과학원은 사체 주변에서는 고의로 살포한 것으로 보이는 볍씨에서 카보퓨란이 치사량 이상(볍씨 1㎏당 924.1㎎) 나왔다고 밝혔다.

야생조류는 물고기나 조개 등 수중 생물을 잡아먹거나 과일·볍씨 등을 섭취한다. 식물을 먹이로 하는 경우 살충제·제초제 등 농약이 미량 검출될 수 있지만, 이 때문에 야생조류가 폐사하지는 않는다는 게 환경과학원의 설명이다. 일부러 볍씨 등에 농약을 섞어 살포해 야생조류가 폐사하는데, 이 경우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행위에 해당한다.

정원화 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장은 “영국곡물생산협회 치사량 기준과 비교했을 때 고농도 농약으로 야생조류가 집단 폐사했다고 볼 수 있다”며 “겨울철에는 농사를 짓지 않아 (고의가 아니라면) 이 정도로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