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역대 두 번째 강진의 불똥이 원전으로 튀었다. 정부가 조기폐로 방침을 정했던 월성 1호기는 물론 공사 재개가 결정된 신고리 5·6호기에도 공세가 이어졌다.

포항 지진으로 문제를 일으킨 원전은 없지만 반핵단체는 탈핵정책 가속화의 명분으로 삼는 모습이다. 여기에 16일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에서 원전 현황과 향후 계획 등이 보고돼 관심이 솔렸다.

신고리 5,6호기 건설현장
신고리 5,6호기 건설현장

반핵단체는 5.4 규모 강진이 발생한 지난 15일부터 성명서를 내고 일제히 원전 사업 중단을 외치고 있다. 중단 요구에는 정부가 조기폐로와 건설 중단을 발표한 월성 1호기와 신한울 3·4호기, 가동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신고리 4호기 등이 포함됐다.

일각에서는 3개월 간 공론화를 통해 공사재개를 결정한 신고리 5·6호기 사업도 취소할 것을 요구했다. 사실상 공론화결과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셈이다.

공세 수위도 높아졌다. 일부 단체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사례를 들며 '핵폭발 화염' 등과 같이 사실과 다른 자극적인 단어를 사용했다. 인근지역에선 진도 7.5이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에 지진이 겹치면서 괴담을 키우는 모양새다. 원자력계는 포항 지진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가속화하는 명분으로 작용할까 우려했다.

16일 열린 한수원 이사회를 놓고도 해석이 분분하다. 한수원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관련 발전설비 현황조사표를 이사회에 보고했다. 한수원은 정부 로드맵상 신규원전 백지화와 월성 1호기 조기폐로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러면서 폐로시기를 정확히 확정하기 어렵고 신규 사업 정상추진이 어려울 것이라는 애매한 결론을 내렸다. 앞서 정부는 8차 전력계획 관련 신규 원전 6기 백지화와 월성 1호기 조기 폐로 방침을 정한바 있다.

한수원 노조는 탈원전 정책에 반대 입장을 유지했다. 신고리 5·6호기와 월성 1호기는 물론 7차 전력계획에서 확정된 신한울 3·4호기 사업도 예정대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진과 관련해선 현재 운영 중인 원전의 설계와 지진 대비책이 충분한 것인지 재평가하고, 최악의 지진 상황을 고려해 안전 보강대책을 세우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한수원은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원전 내진기준을 강화했다. 이달 초에는 원전 안전 관련 특별대책을 마련하고 신고리 5·6호기 내진 기준을 진도 7.0에서 7.4까지 올리기로 했다. 모든 가동원전의 내진성능도 보강한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도입해 운영 측면에서 안전성도 높인다.

원자력계 관계자는 “지금까지의 '팩트'는 국내 모든 원전이 정상가동했다는 점”이라며 “무분별하게 퍼지는 괴담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