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 공격이 발생하면 대표 국가 기간시설인 전력과 교통망은 마비 상태가 된다. 사회 혼란으로 이어진다.

전력망 타격은 곧 '블랙아웃'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위협이다. EMP 파괴력에 따라 달라지지만 국가 전력망 송배전 시설 20%만 기능을 상실해도 남아 있는 전원시설이 연쇄적으로 계통에서 탈락, 블랙아웃 상황이 올 수 있다. 전력 업계 전문가는 우리나라에서 블랙아웃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복구하는데 최소 3일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발전소도 마찬가지다. 운영시스템이 마비되면 발전소는 자동 정지한다. 다수 발전소가 일시에 정지하면 전력계통 전체 전압이 낮아진다. 이 경우 EMP 영향권 밖에 있는 발전소들도 설비 보호를 위해 가동을 멈출 수밖에 없다.

2011년 9.15 정전 때처럼 순환정전을 하거나 양수발전, 가스터빈 가동으로 부족 전력을 동원할 수는 있지만, EMP 영향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계통방어를 장담하긴 어렵다.

원전은 주기기가 두께 1미터가 넘는 격납고에 있는 만큼 비교적 EMP에 대한 차폐가 가능하다. 하지만 전력망이 무너지면 원전 역시 자동으로 가동 정지한다. 이 경우 각 발전소가 보유한 비상발전기 혹은 발전차량을 사용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이 역시 불가할 경우 피통형 냉각계통이 작동하게 된다.

우리나라 전력 시설에 대한 EMP 대응은 초기 단계다. 한국전력이 지난해에야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원자력 분야는 2015년 12월 원자력방사능방제법 개정을 통해 EMP 항목을 추가했다. 관련 기술기준은 올 연말에 마련될 전망이다.

교통 부문에서는 EMP 무기로 인해 전산시스템이 멈추면 전시에 준하는 단계별 시스템이 가동된다. 도로 신호체계가 흐트러지면 일대 혼란이 불가피하다. 차량 2부제를 통해 교통량을 줄인다. 항공, 철도 운행도 사실상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