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탈석탄 등 에너지정책이 연료에만 쏠려있다. 생산은 친환경, 이송은 분산형, 소비는 디지털로 이뤄지는 거시적 관점의 에너지정책이 필요하다.”

유정준 집단에너지협회장(SK E&S 사장)이 정부 에너지 정책에 대해 원전·석탄·가스 등 연료에 집중된 소모적 논쟁을 벗어나 생산·이송·소비까지 보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회장은 지난 15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열린 '제8차 에너지미래포럼' 주제발표에서 “분산전원 형태의 열병합발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주민 반대로 발전소를 짓고도 송전설비가 부족해 가동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만큼 장거리 송전방식을 쓰는 기존 전원 형태보다는 분산전원의 효용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열병합발전소는 전력소비가 집중되는 지역에 지어지는 대표적 분산전원이다.

유 회장은 연중 일일 최대전력수요 편차가 최대 37기가와트(2016년 기준)까지 벌어지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피크수요에 맞춰 신규 발전소를 짓는 것보다 수급의 디지털화, 이송의 분산전원화를 통해 송전과 소비 단계 효율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열병합발전소가 분산형 전원 역할을 수행할 경우 국민 편익은 연간 약 1조15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반면 국내 36개 집단에너지 열병합발전 업계는 공기업인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전력과 전력공급계약을 맺고 있는 GS파워를 제외하면 연간 약 1500억원대의 만성 적자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유 회장은 “8차전력수급기본계획에 열병합발전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나와야 한다”면서 “연료비 정산 현실화, 용량요금 확대, 전력산업기반기금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