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하철이나 송유관 등이 지나는 땅속 깊은 곳 오염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환경기술 개발에 나선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인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분석 등을 접목해 땅속 환경오염을 실시간 감시하고, 오염 확산을 사전에 예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내년부터 2024년까지 총 1158억원을 투자하는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17일 밝혔다.

환경부는 기존에는 땅속 10m 안팎 저심도에서 발생한 오염 농도와 범위를 조사·평가하는 기술과 오염된 토양을 굴착해 지상에서 정화하는 기술을 중점 개발했다. 최근 깊은 지하로 공간 이용이 확대되고, 매설되는 시설물도 늘어나 이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땅속 오염 발생부터 제거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는 기술이다.

환경부는 지하 수십m까지 설치된 지하철 등 환경적으로 취약한 지하공간 오염을 막는 기술을 개발한다. 지하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이동 경로 파악을 위한 감시·예측기술을 만든다. 지하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 피해 방지를 위한 인체 위해성 평갇관리 기술도 개발 대상이다.

지중시설로부터 오염물질 누출을 조기에 발견하고 차단·정화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한다. 고성능 측정장비를 만든다. 통신기술(ICT)과 연계해 신속한 경보가 가능한 '상시 누출감시 시스템'을 개발해 대상시설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유독물 저장시설 등 인체와 생태 위해성이 큰 물질 누출여부를 실시간 탐지한다. 유류저장·수송시설, 지하배관 밀집지역, 도시지하 매설물 지역 등은 개별시설보다 주변지역을 감시해 누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오염물질 누출 감시망을 구축한다.

국내에 서식하는 생물종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성평가 키트, 오염측정 센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위해도 진단시스템 등 기술을 확보해 위해도 진단수준을 제고한다.

상부에 도로나 건물 등이 있어 정화가 곤란한 부지는 땅속에서 직접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술, 오염 지하수 이동 흐름을 차단하는 기술 등 부지 특성에 적합한 기술도 개발한다. 지하수 중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오염부지에 미생물을 활용한 정화기술 등 정화곤란부지 특성에 맞는 맞춤형 기술을 개발한다.

김지연 환경부 토양지하수과장은 "지하 오염 예방부터 정화·검증·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는 환경관리 기술을 개발해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땅 속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함봉균 기자 hbkon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