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체 설비용량이 국가 전력 장기수요전망 축소에도 증가할 전망이다. 원전과 석탄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효율이 낮은 신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하면서 예비율 확보에 필요한 설비용량도 늘어났다. 신재생에너지는 7차 대비 약 두 배 설비가 요구된다. LNG발전소도 5~10GW 설비를 추가해야 한다.

지난 11일 전력거래소와 전력정책심의회가 발표한 8차 전력수급계획 설비 분야 내용에 따르면 2030년 기준 국가 총 발전설비규모가 170GW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전망과 적정예비용량을 모두 낮췄지만 발전소 용량은 7차 계획(163GW) 대비 오히려 늘었다.

8차 계획에서 원전과 석탄화력 다수를 제외시키고 신재생에너지 용량을 대폭 키운 것이 주원인이다. 전력심의회는 정부 국정방침에 맞춰 8차 계획에서 신규 원전과 석탄을 반영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방침대로라면 7차 계획에서 신규설비로 지정된 원전과 석탄화력 16GW 용량이 빠진다. 여기에 2030년까지 수명이 만료되는 원전 11기 9GW와 폐지 예정 설비를 포함한 석탄화력 감축 용량 4~5GW도 제외된다. 향후 13년 간 약 30GW 원전과 석탄이 사라진다.

대신 45GW 신재생에너지가 추가된다. 7차 계획에선 단 한기도 추가되지 않았던 LNG발전소도 8차에선 5~10GW가 신규로 들어온다. 5GW 편차는 신고리 5·6호기와 현재 논란이 일고 있는 일부 석탄화력사업을 반영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원전과 석탄에서 30GW가 빠졌지만, 신재생과 LNG발전으로 50GW 이상이 추가되면서 약 20GW 설비 확대가 예상된다.

전력거래소는 2030년 총 신재생설비가 62.6GW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7차 계획 2029년 전망의 32.9GW 보다 약 두 배 많은 수치다. 반면, 전력수급에서 이들의 기여도는 전체 발전량의 20% 수준이다. 전력 생산이 유동적인 신재생에너지의 약점을 물량공세로 메꾸는 셈이다.

실제로 전력심의회도 피크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기여도를 태양광은 15%, 풍력은 2%로 보수적으로 책정했다. 장기수요전망과 20~22% 정적예비율로만 따지면 101.9GW 최대 피크를 막기 위해 필요한 운영예비력은 120~130GW 수준이다. 신재생에너지의 불확실성으로 설비는 170GW 이상 확보해야 한다.

다수의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이 필요하다. 업계는 부지확보와 지자체 인허가 선로 연결 문제로 지금도 힘든 신재생 사업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8차 계획은 태양광과 풍력으로만 48.6GW 설비가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태양광과 풍력의 8:2 비중으로 따지면 태양광만 39GW가 설치될 전망이다. 이에 필요한 부지는 약 500㎢로 대전광역시 면적과 맞먹는다.

업계 전문가는 "장기수요전망치를 줄인 상황에서 예비율을 크게 낮추지 않은 것은 적절하다"면서도 "원전과 석탄 발전설비를 수명 만료 즉시 해체하면서 부족한 예비율을 신규 신재생 확대로 대체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조정형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