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슈퍼그리드'가 성공하려면 관련국인 중국, 러시아, 일본의 정책협력, 전담기구 설립, 사업투명성 확보가 필요하다. 역내 국가의 정책협력 협약 체결이 우선돼야 한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는 28일 '전기산업 통일연구 협의회'를 열고 동북아 슈퍼그리드 추진동향과 시사점, 북한 전기안전 현황과 정책분석 등을 논했다.

동북아 슈퍼그리드는 에너지 다소비 국가인 한·중·일 3국이 에너지 확보 차원에서 가능성을 논의한 사업이다. 동부 시베리아와 극동 러시아의 수력과 천연가스, 몽골 고비사막의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이를 고압직류(HVDC) 송전방식의 육상 선로와 해저 케이블을 건설해 한·중·일로 끌어온다.

정규재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은 동북아 슈퍼그리드 논의 초기에는 소극적이었으나 자국이 글로벌 에너지 연계(GEI, Global Energy Interconnection)를 제안하면서 적극적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정 연구위원은 "GEI는 중국의 국가전략인 일대일로의 에너지버전으로 동북아 슈퍼그리드도 GEI 사업의 일환으로 간주된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급격히 증가한 발전설비가 경제성장 둔화, 송전선 건설 부진 등으로 잉여설비가 됐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한·중·일 전력망 연계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러시아도 적극적이다.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푸틴 대통령 신동방정책 추진전략의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했다. 지난해 동방경제포럼에서 정부간 협의체 구성도 제안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북한에 전력공급과 함께 한국으로 송전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일본은 후쿠시마 사태 이후 인접국과의 전력망 연계에 관심을 가졌다. 지금은 정부와 산업계의 보수적 입장, 대외전략 등으로 소극적이다.

해외 전력망 연결과 배관으로 가스 도입이 가능해지면 국가 전력수급 부담은 줄어든다. 유럽처럼 필요하면 타국의 전력을 구매하거나, 반대로 유휴 발전소를 운영해 남는 전력을 팔 수도 있다.

정 연구위원은 "관련 국가와의 정책협력이 필수며, 북한이 참여하는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은 경제성 향상과 한반도 긴장완화, 통일비용을 감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회의 참여한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그간 남북관계가 경색됐던 상황에서 새 정부가 들어섰는데, 북한의 입장변화가 있다면 동북아 전력망, 대북 송전탑 설치 등 전력계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다"며 "남북 경제협력 청사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승일 전기산업 통일연구 협의회장은 "한반도 통일과 통일준비라는 시대적 소명은 분명하기 때문에 우리가 준비하는 남북 전력기기 표준화 방안 도출과 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이 좋은 결실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