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규모 정전이 반복된다. 11일 정전으로 서울 서남부 지역 신호등 200여개가 꺼지고 엘리베이터 승강기가 움직이지 않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향후 정전 시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UPS는 정전에 대비해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다. 현재는 일정 규모 이상 건물에 설치한다. 평상시에는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했다가 정전되면 순간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반도체 공장 등 전력이 멈추면 막대한 손실을 입는 사업장에 주로 설치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도 슈퍼컴퓨터 전력 공급 장애를 막기 위해 UPS를 도입한다.

신호등은 정전사고로 전력 공급이 끊기면 차량과 보행자에 혼란을 주고, 교통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경기도 의정부시는 2015년부터 정전이 발생해도 교통신호등이 작동하도록 시내 주요 교차로 15곳에 UPS를 설치했다. 올해도 교차로 8곳에 UPS를 설치한다.

11일 불이 꺼진 서울 서남부 지역 신호등은 UPS가 설치되지 않았다. UPS업계 관계자는 "정전으로 신호등이 제어되지 않으면 교통 흐름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요 교차로에는 UPS를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쇼핑몰이나 영화관에도 ESS 설치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비상발전기나 ESS 설비가 있으면 정전 시 피해를 최소화한다. ESS는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해 효율을 높이는 장치다.

산업부는 올해부터 ESS 특례요금 할인 확대 정책을 폈다. 공공기관 건물(1000㎾ 이상)은 계약전력의 5% 규모 ESS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아직 확산이 더디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자동화·전산화 시스템 때문에 무정전과 ESS 필요성이 높아졌다"면서 "비용 문제로 모든 시설에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전체 리스크 분담과 비용을 고려한 정전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